ep1. 런던 시청의 건립배경
런던의 시청은 다른 유럽국가와 독특한 배경을 갖고있는데 대부분의 유럽국가들의 시청은 국가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세기동안 해왔기 때문에 기존의 상징적 형태와 위치를 포기하면서까지 새로운 시청을 지을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런던은 다르다. 런던의 중심부 "city of London"은 지역적으로는 대 런던 행정당국 GLA의 한 부분이지만, 별도의 자치권을 가지며 그 수장도 시장이라고 불리는 등 GLA와는 별도의 조직체를 갖는다.
GLA는 1990년대 후반에 새로운 시청사를 짖기 위한 부지민 디자인을 공모했다. 수많은 후보들을 검토하며 고민한 후 "타워브릿지에 인접한 템즈강 남단"을 시청 부지로 선정했다. 시청사는 GLA결성 2년후인 2002년에 개관하였다.
ep2. 대지분석
Norman Foster가 맡은 설계프로젝트는 부지개발과 런던시의 확장, 템즈강 남단의 새로운 중심 건설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시청사 주변으로는 총 4개의 특징있는 외부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East: 필즈 파크로서 넓은 잔디 광장
2. West: 인근 건물의 카페와 연결된 분수광장이며 휴식공간으로 사용
3. South: 남측 모서리 외부공간은 조용하고 차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목 식재의 공간
4. North&West: 외부공간인 스쿱은 반지하의 반원형 극장으로 시청 출입구의 바로 외부에 위치하여 전체 런던 모어 재개발 외부 공간계획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ep 3. 개획 개념 + 프로그램
1. 계획 개념
1-1.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구조의 디자인으로 건축물을 변환시켜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 하는 것.
1-2. 건축을 통한 민주주의 표현과 공공 이익의 실현.
위의 두가지 개념은 런던 시청사의 형태와 공간 구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wait ! 구 런던 시청사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이란 경제성장의 환경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문화적 반응을 나타내며, 지속가능한 발전은 '미래 세대의 능력과 환경을 저해함 없이 현재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개발(지속가능 개발 : 개발과 성장에 중심 / 지속가능성 : 환경에 중심)
2. 프로그램
2-1. 규모 : GLA의 본부 건물로서 런던의회 소속 25명의 의원을 위한 시 의회실이 위치하고 있으며, 시장의 집무실과, GLA의 500명 직원들이 상주하는 사무실로 구성되어있다.
2-2. 공간 비율 + 층별 내부 프로그램 - Foster + Partners 공식홈페이지
Floor | Main program | Main functions | Percentage |
지하 | 상점 / 갤러리 / 카페 / 식당 | 시청 사무실 | 12% |
지상층 | 접수처 / 시 의회실 / 사무실 / 집무실 | 시청 집무실, 시 의회실 | 22% |
최상층 | '런던 거실' 전망 발코니 | 식당, 상업 | 20% |
외부 공간 | 야외 공연장-The scoop | 공용면적 | 46% |
ep 4. Digging!
1. 매스
- Norman Foster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디자인 형태를 고안하였다. 기존의 기술로도 별 다른 추가비용 없이 단지 적합한 방향, 형태, 자연광 사용, 태양광 조절, 패시브 냉난방기술로 에너지를 50% 감축을 할 수 있다고 한다.
*wait ! 패시브 냉난방 기술이란?
차양 등을 통해 냉방부하를 줄이거나 외피의 단열성능을 강화하여 난방부하를 감소시키는 등
1차적으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런던 시청사는 기존 건물보다 75% 에너지를 절감하는데, 시청의 형상은 최소의 표면적으로 최대한의 볼륨을 갖도록 구의 형태가 도출되었고, 이는 전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결과물이다.
2. 친환경 건축 디자인
2-1. 기울어진 구체 디자인(조명에너지 절감)
- 건축에서 조명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23% 정도이다. 시청사의 남측 정면은 여름 직사광의 차광이 요구된다. 이는 각층 바닥을 아래로 부터 위로 돌출시켜 그늘을 형성하여 아래층에 패시브 솔라 쉐이딩이 작용될 수있도록 디자인되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위로 올라갈 수록 남쪽으로 돌출되는 바닥의 면적과 후퇴되는 북쪽의 면적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이는 적정량의 일광을 수용하면서도 건물에 들어오는 직사광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
-요약: 과도한 직사광선의 유입과 열 획득을 최소화 하기 위한 디자인
2-2. 태양전지 패널(에너지 생산)
- 태양열 패널은 2007년 8월 공사가 준공되고 난 이후에 추가로 설치되었다. 이는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며 탄소배출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2-3. HVAC시스템 도입(재활용)
*wait ! HVAC 시스템이란?
HVAC 시스템 도입(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al): 의 약자로 뜨겁거나 차가운 공기를 천장 배관을 통해 작업장 등 실내에 유입시켜 온도를 조절하거나 환기를 통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설비기술.
런던시청은 이 기술을 지하수를 이용하여 활용한다. 평소에는 건축물의 수 많은 창문을 통하여 건물 내부 열기를 자연적으로 식히는 구조를 지니고있지만, 별도로 건물의 냉방을 필요로 할 때에는 건물 아래쪽에서 빨아들인 지하수를 내부로 분산시켜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고 있다. 이 지하수는 바로 버려지는 것이 아닌 화장실의 물로 다시 한번 재활용된다. 또한, 난방의 경우 외부에 있는 열을 흡수하여 히트펌프로 가열시키고 벽을 따라 장치된 난방시스템을 열기로 분산시켜준다.
2-4. 이중 외피(에너지 절감)
- 인간이 쾌적함을 느끼는 데에는 4가지의 요소가 있다. 공기온도, 상대습도, 공기흐름, 복사온도이다. 건축에서 공기, 빛, 물은 순환 에너지의 절감 뿐 아니라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 런던 시청사의 공기 순환은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건축물 전체의 형상과 이중 외피가 개폐가능한 창문을 이용하여 자연환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중외피를 이용하게 되면 두 외피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재와 같은 기능을 하여 난방에도 효과적이다.
3. 민주주의적 건축디자인
3-1. 투명한 건축
- 투명성을 위해 런던 시청은 유리를 적극 활용하였다. 이는 민주주의 프로세스를 투명하게 공개하자는 것이다. 이런 투명성은 공익을 상징화 하는 측면을 갖는다는 정치적 투명성과 연관이 있다. 런던 시청은 어느 방향에서든 들여다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 트리형태를 한 전면 투명유리(왼쪽 위)를 통해 다른 외벽과 차별성을 준 것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은 외부에서 볼 때 전체 형태의 변화를 줌과 동시에 내부 이용자들의 동선을 외부로 노출시켜 동적인 파사드를 제공하였다. 반대로 내부에서(오른쪽 위) 램프(계단)를 이용할 때 이용자들이 다양한 위치에서 런던의 모습을 기억할 수 있다. 특히 시의회실 레벨에서 바라본 런던타워와 템즈강의 뷰는 마치 전시공간과 같은 공간을 연출한다.(아래)
3-2. 공공시설
- 보통의 공공기관의 건물들은 경직된 건물이 될 수도 있지만 런던 시청이 그렇지 않은 이유에는 갤러리, 야외 공연장, 상업시설등을 통해 "지역과 시가 공동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계획초기 부터 계획 개념에서 나타난 민주주의를 고려하여 커뮤니티의 공간이 핵심"이였다.
3-3. 접근성 용이
- Norman Foster는 설계당시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문자 그대로 즐길 수있도록 만들겠다." 고 하였다.
우선 시청사 대지로 접근은 보행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24시간 접근이 가능하다.(아래) / 지하도는 시청사를 포함한 개발 지역의 모든 신축건물에 공유되는 서피스 하부 구조를 연결시켜 자동차로 부터 완전히 분리시켰다.
모든 건축물들은 지을 때 그냥이라는 이유로 지어지지 않습니다. 항상 이유가 존재하며 그 이유는 당시의 문제점과 건축가의 사상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물이자 방향입니다. 구 런던 시청사는 환경문제와 더불어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지속가능성을 대표적으로 가장 잘 풀어낸 건축물입니다.
첫 여행은 영국 런던에서 마무리합니다.
'Architecture > Norman Fos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rman Foster# Reichstag, New German Parliament - Germany (0) | 2024.03.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