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BIG

BIG# CapitaSpring Tower - Singapore

Suhyeon99 2022. 10. 20. 16:38

2022 / H:280m(51F) / BIG(사진) , CarloRatti Associati

건축 경연대회에서 BIG와 Carlo Ratti Associati와 함께 작업하였습니다.

 

ep 1. CapitaSpring Tower?

Capitaspring Tower가 위치한 Market street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공간이었으며, 랜드마크로 부상하고 있던 금융 지구 중심부였다.

 

 CapitaSpring은 Market street을 공공영역으로 복원하여 "도시에 녹지 주머니를 매끄럽게 전환하며 다양한 이웃들이 51층의 복합공간에서 일하고, 놀고, 살 수 있는 '녹색 호흡'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싱가포르의 '선구적인 수직적 도시' "를 계획하였다. 그러면서 싱가포르에서 280m로 두 번째로 높은 타워라는 타이틀을 가지며 랜드마크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apitaSpring은 무성한 녹지, 도시 농장이 있는 옥상 정원, 건물 주변을 따라 이어지는 600m의 자전거 트랙이 있는 165개의 자전거 주차장을 통합하여 이러한 목표에 한 발 다가간다.

 중앙 지역 자전거 네트워크로 병합되고 통근자를 대규모 고속 운송 역, 버스 환승소, 쇼핑몰, 학교 등에 연결하여 도시 전체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와 시골, 문화와 자연이 공존하는 공간"이 되었다.

 

*wait! Market street의 역사?

더보기

-1863년에 지도에 등장하며 싱가포르에 오래된 거리 중 하나로 뽑힌다.

-역사적으로 영토의 대부분이 대금업자였기 때문에 거리에 대금업자들의 상점들이 즐비하였다. 많은 기록과 금고들이 위치하였었고, 이는 오늘날 싱가포르의 금융 지구로 확장되었다.

Market street in Singapore


ep 2. 수직적 입면과 분리

Facade

  • 싱가포르 명성?

2022년 현재 환경문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만큼 이미 대두되고 있는 문제다. 싱가포르는 좁은 국토면적으로 화력 에너지를 얻기에 많은 문제를 겪고 있었다. 이에 싱가포르는 Zero정책을 내세우며 지리적 불리함을 해결해 갔다.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내세워 나라를 운영한 싱가포르는 "친환경 도시"의 이미지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명성에 걸맞게 CapitaSpring 역시 '수직적으로 분리된 입면을 통해 건축물 전체에서 녹지(80,000개 이상의 식물)가 발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은 "정원과 도시 사이가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직각의 선들과 무성한 녹지 및 대조되는 질감은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wait! Zero 정책에 맞춘 설계 중점 Point

더보기

2030년 싱가포르 그린 플랜에 명시된 "지속 가능한 교통 비전을 준수하는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자연 속의 도시, 녹색 경제, 에너지 재설정, 회복력 있는 미래, 지속 가능한 삶"과 같은 개념을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하였다.

CapitaSpring은 싱가포르 건축청으로부터 Green Mark Platinum & Universal Design GoldPLUS 인증을 받았다.

View

외부에서 벌어진 입면을 통해 녹색의 오아시스를 경험할 수 있다면, 내부에서는 "도시경관이 수직적 차원으로 제한 없이 확장될 수 있어 마치 미래의 비전과 같다."

 

수직적 입면?

건축물의 입면의 수직 루버를 통해 건물의 수직성을 강조한다.  외부의 녹지공간이 내부까지 확장시키며 부분적으로 노출시켜 녹지공간이 연장되어 보이도록 하였다. 건물의 입면은 위층부에서 달라지지만 수직 루버를 한 면으로 통일하여 수직성은 그대로 강조되도록 하였다.

 수직성을 강조하는 것은 앞서 말한 대로 "선구적인 수직적 도시"의 가치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수직적 도시를 깨닫게 된 배경

더보기

제 2차 세계대전 이 끝날 무렵, 실직 관계는 구역별로 분리되었고 자동차의 확산으로 도시가 무분별하게 확장되었다. 따라서 도시주의자들과 건축가들은 도시 공간을 수평축에서 수직축으로 재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깨달았다. 


ep 3. 19m의 피난처

Lobby

싱가포르는 열대기후이다. 평균 습도가 80% 일 정도로 일 년 내내 꾸준한 강수량을 띄고 있다. 이런 싱가포르의 기후로부터 CapitaSpring의 로비는 넓은 입구를 통해 피난처와 같은 역할을 한다.

  • 녹색의 시작

구불구불한 정원길과 다양한 식물로 장식된 길은 자연스럽게 19m의 넓은 광장으로 인도하면서 도시와 녹색 정원의 연결의 시작점을 이룬다. 사람들은 1층의 새로운 선형의 공공 열대우림 광장과 공원을 통해 만나도록 되어있다.

 다양한 입구는 피난처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 조경 디자인 컨셉

ㅡㅡㅡ》

조경을 자세히 보면 아래쪽의 식물들은 비교적 잎이 넓고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조경의 디자인은 열대우림에서 따온 것이다. 이러한 조경은 차양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wait! 열대우림의 잎 구조?

더보기

아래쪽에 위치한 식물의 잎은 비교적 적은 빛을 공급받기 때문에 표면적을 넓혀 빛을 최대로 공급받기 때문에 넓은 잎의 모양을 띄고 있다.

 반면에 위쪽에 위치한 식물의 잎은 많은 빛을 공급받기 때문에 표면적을 좁혀 적절한 양의 빛을 공급받기 때문에 좁은 잎의 모양을 띤다.


ep 4. Green Oasis

Green Oasis

Green Oasis라고 불리는 35m 높이의 공간은 건축물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건물의 80%가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된 녹색 건물이 되도록 보장)를 충족하는 공간으로 4개의 층이 하나로 연결되어 업무, 휴식, 행사, 운동 등 모든 행위들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만 총 15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앞서 건축물의 외관에 사용된 재료들은 현대적인 재료를 사용하였기에 이런 녹지공간과의 조화를 이루기에는 불리하다.

하지만 물성과 촉감이 부족한 부분은 수직 열대림의 넓은 녹지 공간과 녹색 지붕의 통합을 통해 균형을 이룬다.

"80,000그루 이상의 나무로 이루어진 8300제곱미터의 공간은 풍경과 1:1.4의 Green Plot 비율은 질량과 규모로는 얻을 수 없는 부드러움을 제공한다."

 

이 공간에서는 다양한 편의시설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연결하고 사용의 범위를 나타내는 매개체가 바로 Green Oasis의 또 다른 역할이다.


ep 4. 30% 영양공급

Roof

싱가포르는 '영양 요구량의 30%가 현지에서 공급되도록 현지 재배 농산물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 하는데 Capitaspring 또한 이 요구를 반영하였다.

 

건축물의 옥상에 위치한 열대 도시 농장은 각종 재료들을 직접 농작하여 자급자족하는 방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소비자들은 음식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싱가포르의 추진 방안과 소비자, 생산자 모두의 조건을 충족시켜 준다.


ep 3. 프로그램

지하층
부지,  타워 코어,  주차장, MEP  플랜트 룸 및 노점상 시장의 면적에 의해 제한됩니다 .
1F
1층에 위치한 로비는 메인 상점가들의 정면이 마켓 거리를 향하도록 한다.
 한 발 물러나 보행자로와 공공 City room을 Trough-block pasage와 함께 수용한다.
Hawekr Market
좁은 높은 끝을 따라 두 층의 노점상 식품 시장이 위치해 있다.
Serviced Residences
주차장 위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8개 층의 거주지가 있으며, 넓은 야외 정원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Offices
연속적이고 효율적이며 반복적인 사무실 층의 29층이 주거지 위에 위치한다.
The green spring
오피스 공간은 상업적 가치를 극대화한다.
사무실과 주거지 사이의 무성한 녹지 공간은 생활, 업무, 놀이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편의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옥상정원 & 편의시설
중앙화된 MEP 플랜트룸은 옥상 레스토랑 아래에 위치해 있다. 식당은 연속적이고 접근하기 쉬운 고리의 램프를 통해 올라가는 옥상 정원과 연결되어 있다.
입면
파사드 외부에 설치된 수직 돌출부(멀리언)는 건물의 위에서 아래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내부의 녹지와 사회활동을 드러내는 주머니를 만든다.

Tower 형태

중앙 동선과 서비스 코어가 있는 주거 및 상업 공간의 바닥판은 불규칙한 오각형이다. 두 공간은 필요의 형태에 맞추어 열리고 닫히게 된다.

주거공간
끝이 없어 보이는 순환형 복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아파트 입구와 함께 5면에서 코어를 감싸는 단일 로드 선형 복도로 구성되었다.
상업용 공간
개방형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코어 자체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refer(BIG studio) / (stirworld) / (archdaily) / (Wkipedia) / (Arquitectura Viva) (AIF)